-
건물외벽마감재의 종류와 평당가격을 정리해 봤습니다. 공사비절약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카테고리 없음 2019. 7. 26. 19:54
오늘은 건물외벽 마감재의 종류와 공사비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
외벽마감재의 정확한 금액이 아니라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상가주택, 전원주택 단독주택, 원룸, 상가 등 많은 종류의 집을 짓습니다.
그러면 많은 분이 고민을 하십니다.
외벽 공사에 어떤 재료를 쓰고 비용은 얼마나 들고 장단점은 어떤지....
엄청 고민되시죠... 그맘 충분히 이해됩니다.
사실 요즘 방학이라 가족들과 해외여행을 갈까 고민 중인데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복잡하고 어떻게든 저렴하게 알차게 좋게 가기 위해 엄청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번에 괌 자유여행을 5일 만에 급조로 준비해서 갔다 왔는데 엄청 공부를 했습니다.
자유여행으로 다 정해야 했습니다.
일정, 맛 집 등 여러 가지 정보를 A4 40장 정도는 출력해 갔습니다.
당연히 그 일정대로 하지는 못했죠...
이렇게 큰 금액 아닌 것도 고민을 하는데 전 재산을 고민 안 할 수가 있겠습니까..
외장에 대해서 조금의 도움이 되시라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진 등은 붙이지 않겠습니다.. 컴퓨터도 그리 잘 못하고
검색하면 더 잘 돼있기 때문에...
저는 건물의 용도나 재산상의 여러 가지 종합해서 외장을 선택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처럼 오래 살기를 원하는 건물의 외장재는 돈이 조금 들더라도
내구성, 단열성, 디자인적인 요인 등 조금 욕심을 내서 짓기를 권하고
상가주택이나 상가 등은 수익성에 초점이 조금 더 맞춰진 건물이라 생각합니다.
상가는 그렇더라도 상가주택은 거주를 하니깐 좀 욕심을 내면 어떨까 하시는데
여유가 되시면 그렇게 해도 되는데 대부분 절세를 통한 매매를 많이 생각하시는 게
현실입니다.
그럼 외장재를 조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드라이비트 계열
(스톤 코트, 스타코, 스타코 플럭스, 스타코 등이 속합니다.)
- 가격 : m2 당 30,000원~60,000원대
- 설명 : 드라이비트 계열이라 했는데 왜냐면 공정이 같습니다.
마지막 마감재료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 장점 : 모든 건물에 재일 많이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특히 잘 안 보이는 부분 좌우 면 및 배면에 주로 사용하죠.
가성비, 단열성,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 우수
- 단점 : 화기에 약함.
내구성이 약하고 강풍 등에 탈락할 수 있음.
- 총평 : 가성비 최고 외장재, 단열성 우수(최고임)
상가주택이나 상가에는 많이 적용하는 재료임.
2. 석재
흔히 대리석으로 많이 알고 있는데 돌의 종류가 워낙 많기 때문에 크게 내외장재로 구분하는데
종류에 따라 금액 차이 많이 남.
- 가격 : 70,000원~150,000원대 ( 단열재는 제외함)
- 설명 : 외장재로는 흔히 문경석, 포천서, 현무암(제주석이라고도 함) 이 대표적인데
한번 검색해보시면 석재 종류가 엄청 많습니다.
일전에 석재를 정리해보려 했는데 너무 많아서 포기함
- 장점 : 내구성 우수, 유지 보수 우수, 외관 디자인 우수 등
- 단점 : 딱히 없는 것 같음...
요즘 젊은 세대에서는 그리 선호하지 않는 거 같음( 개인적으로도...)
- 총평 : 금액 대비 무난하고 오래 건물에 신경 쓰기 싫으신 분은 추천
외관에 대한 AS 별로 생각 안 해도 됨.
3. 벽돌
요즘 벽돌이 엄청 다양해지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붉은 벽돌이 아닌 디자인적으로 다양해서
많이 선호하고 있는 것 같음.
- 가격 : m2 당 80,000원~150,000원대 (그 이상하는 벽돌도 있음... 경험상, 단열재 제외)
- 설명 : 할 말이 많은데 붉은 벽돌에서부터 청고 벽돌, 콘크리트 벽돌, 와이드 벽돌 등 엄청 다양한데...
종류를 열거하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벽돌은 재료비뿐 아니라 시공비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붉은 벽돌은 조적공이 쌓다가 조각을 넣을 때는 망치로 그냥
툭 치면 그걸로 끝이고 일반적인 시공법입니다.
그러나 콘크리트 벽돌이나 와이드 벽돌은 카터기로 일일이잘라야 합니다.
무게 등 많은 제약이 있어서 공사비도 많이 차이가 납니다.
- 장점 : 내구성, 디자인적으로 좋습니다.
저 또한 좋아하는 재료입니다.
- 단점 : 재료에 따라 공사비 많이 차이 남.
투수성이 있어서 누수에 약하고 백화현상 등이 생김.
생각보다 관리가 힘든 재료임.
그리고 요즘 벽돌이 중국에서 많이 들어오는데 제품의 품질이 일관성이 없음
재수 없으면 이상한 벽돌이 옴.(건조 등을 잘못해서 벽돌에 문제 있는 게 좀 있음)
- 총평 : 욕심을 내서 해보는 재료임.
할 거면 돈 좀 써서 디자인적으로나 나중에 문제가 될만한 상황을 완전히 제거하는 공사를 하고
어중간히 할 거면 별로 추천 안 함 (둘 다 고생임)
4. 징크
지붕재로 많이 사용을 하고 외벽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 가격 : m2 당 90,000원~140,000원대 (단열재 제외)
- 설명 : 크게 철재, 알루미늄, 티타늄으로 나눕니다.
철재 중에서도 색상 아나 회사 등에 따라 금액 차이가 납니다.
공정이 골조에 하지 작업(각 파이프 작업) - 합판 시공 - 방습지나 방수시트 시공 - 징크 시공
여기에서 각 파이프 사양, 합판(국산, 수입품, OSP 합판) 사양, 방습지 사양 등에 따라 가격차이 남
- 장점 : 디자인적으로나 내구성 우수함.
- 단점 : 가격대가 고가임
- 총평 : 가격이 고가여서 그렇지 시공성이나 여러 가지 장점이 많아서 좋은 제품
요즘 너무 많이 사용해서 개성 있는 집을 원하시는 분은 비추함.
5. 그 외 제품
세라믹판넬도 요즘 많이 사용하는데 징크와 비슷하다 보시면 됩니다.
가격대나 여러 가지로 비슷한 제품입니다.
이렇게 정리를 해도 머릿속으로는 정리가 잘 안될 것입니다..
제가 여행 계획을 세우듯이...
공사비에서 외장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습니다
그리고 어떤 재료를 얼마큼 사용하느냐에 따라 공사비 증감이 심한 부분입니다.
공사비를 절약하고 싶으면 외장재에서 욕심을 비우면 큰 금액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외장재에서 욕심을 조금만 내면 몇천은 우습게 증가합니다.
디자인도 중요하고 내구성도 중요하고 돈주 적게 들면 좋겠지만 그렇게 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부분은 좋은 시공자를 만나서 최상의 시나리오를 만드는 것입니다.
서로 솔직하고 열정이 있다면 얼마든지 좋은 건물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서로를 조금 더 믿는다면 더 열정적으로 일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건물은 건축주의 소유이지만 건물에 대한 자부심은 시공자의 것인 거 같습니다.
저는 항상 제 아들에게 제가 지은 집을 보여 줍니다.
건축주도 당연히 좋아하시지만
아들이 좋아하면서 이 집에서 살고 싶다고 말할 때 가장 보람을 느낍니다.
사실 건축주도 좋아해야 하지만 저의 만족도가 높은 건물을 좀 원하는 거 같습니다.
좀 병인 거 같습니다..
모든 분들이 좋은 집을 짓고 시공자가 사기꾼 소리를 듣지 않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